
제 1단계 | 제 2단계 | 제 3단계 | |
---|---|---|---|
시기 | 단기 | 중기 | 장기 |
사업연도 | 2019년~2021년 | 2022년~2025년 | 2026년~2032년 |
사업기간 | 향후 1~3년 | 향후 4~6년 | 향후 7~10년 |
사업대상 | 시설 및 지역장애인 | 시설 및 지역장애인 지역사회소외계층 |
시설 및 지역장애인 지역사회소외계층, 일반근로인 |
1. 개별화된 직업재활 계획을 바탕으로 직업훈련 체계확립 |
- 각 사업장에 맞는 직업평가지 개발 - 개인별 특성, 욕구에 맞는 직무 배치 -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개인별 특성 고려 프로그램 진행 - 직업재활서비스 향상을 위한 지원체계 확립 - 개인별 욕구조사를 통한 동아리 활동 진행 - 이용인 인권 강화 |
- 다양한 직무 경험을 위한 현장실습 업체 연계 - 체계적인 이용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 마련 |
- 이용자 중심의 통합지원체계 구축 |
2. 안정된 수익 구조 마련으로 경제적 ․ 심리적 자립지원 |
- 디자인 개발(세제류) - 연 매출 8억(20%성장) - 근로장애인 8명 최저임금지급 - 국비기능보강보사업 참기름, 들기름 착유기 교체 |
- 군납 수요처 증가 - 카페 공공기관에 입점 (2,3호점 개점) 장애인 일자리 창출 - 근로장애인 12명에게 최저임금지급 - 연 매출 9억(40%성장) - 국비기능보강사업 세제 교반기 교체 |
- 기관의 총체적 역량강화 - 경제적, 사회적 자립체계구축 - 근로장애인 15명에게 최저임금지급 - 전략적 생산품의 고품질 브랜드화 - 연 매출 13억(100%성장) |
3. 도움을 주고 받는 사회 구성 원으로의 기여 |
- 다양한 문화체험을 통한 장애인인식 개선 : 해외여행 - 제빵사업 푸드뱅크 연결 - 품질 경영관리를 통한 고객만족 실현 - 보호자 연계강화를 통한 자립 추진 : 체험홈 - 지역사회 특수학급 학생들과 연계된 직업훈련 실시 |
- 복리사업 추진 (휴가제도, 인센티브 지급) - 직원 복리후생 증가 및 역할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-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활성화 - 자원봉사자 및 후원자 활용을 통한 장애인의 사회 참여 증진 |
- 지역사회와의 일체화 - 지역사회 네트워크 확립을 통한 사회 기여 사업 진행 |
비 고 |